맨위로가기

유송 명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송 명제 유욱은 남조 유송의 황제이다. 그는 포악한 전폐제 유자업에게 암살당한 후 황위에 올랐으며, 유자훈의 반란을 진압하고 북위와의 전쟁을 겪었다. 초기에는 유능한 통치자로 평가받았으나, 후반기에는 의심과 잔혹함이 심해져 형제와 조카들을 죽이고 사치와 미신에 빠졌다. 그는 통치 말년에 병으로 사망했고, 아들 유욱(후폐제)이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송 (남조)의 시중 - 심경지
    심경지는 남조 송나라의 무신이자 관료로, 뛰어난 무예와 전공으로 장군에 올랐으나 환관 탄핵 실패 후 동양태수 재임 중 선정과 청렴함으로 칭송받다 암살당했으며, 사후 사공 추증과 함께 양공 시호를 받았고, '백면서생' 고사성어를 처음 사용했다.
  • 439년 출생 - 성 사바스
    성 사바스는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초반 팔레스타인에서 활동한 기독교 성인이자 수도승으로, 마르 사바 수도원을 설립하여 팔레스타인 수도원 운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칼케돈 신조를 옹호하며 교회 지도자로도 활동했다.
  • 유송 문제의 황자 - 유송 효무제
    유송 효무제는 남조 송의 제5대 황제로, 형의 쿠데타를 진압하고 즉위하여 중앙 집권화를 추진했으나 잦은 숙청과 사치로 국가 재정을 악화시키고 민심을 잃었으며, 효건과 대명 연호를 사용했고 아들 유자업이 뒤를 이었다.
  • 유송 문제의 황자 - 유소 (유송)
    유소는 유송 문제의 장남으로 황위를 찬탈했으나 동생의 반란으로 3개월 만에 살해당하고 폄칭된 비운의 황제이다.
유송 명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유욱
휴병(休炳)
소자영기(榮期)
신분
작위유송의 제6대 황제
재위 기간466년 1월 9일 ~ 472년 5월 10일
즉위일태시(泰始) 원년 12월 7일(466년 1월 9일)
전임자전폐제(前廢帝)
후임자후폐제(後廢帝)
작위 (상동왕)상동왕(湘東王)
재위 기간 (상동왕)452년 8월 16일 ~ 466년 1월 9일
즉위일 (상동왕)원가(元嘉) 29년 7월 16일(452년 8월 16일)
작위 (회양왕)회양왕(淮陽王)
재위 기간 (회양왕)448년 10월 8일 ~ 452년 8월 16일
즉위일 (회양왕)원가(元嘉) 25년 8월 25일(448년 10월 8일)
생애
출생원가(元嘉) 16년 10월 18일(439년 12월 9일)
사망태예(泰豫) 원년 4월 17일(472년 5월 10일)
사망 장소건강, 유송
가족 관계
부친문제(文帝) 유의륭
모친명선황태후(明宣皇太后) 심씨
배우자명공황후 왕씨
자녀유우
유준
진릉공주
건안공주
양현공주
통치
연호태시: 465년-471년
태예: 472년
섭정유자훈 (466년 2월 7일 ~ 466년 9월 19일)
섭정 유형찬탈자
시호명황제(明皇帝)
묘호태종(太宗)
능묘
능묘고녕릉(高寧陵)

2. 생애

전폐제 유자업은 남조의 대표적인 포악한 황제로, 숙부인 명제 유욱에게 암살당했다. 전폐제의 동생 유자훈이 반란을 일으키자, 명제는 심유지를 보내 진압했다.[1] 명제는 채흥종 등 귀족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학관을 설치하기도 했으나, 반란 진압 후에는 독단적인 정치를 펼치며 사치와 미신에 빠져 재정을 악화시켰다.

명제 사후 후폐제 유욱이 즉위했으나, 숙부 유휴범이 한문 출신 권력자들의 전횡에 반발하여 군사를 일으켜 수도 건강을 위협했다. 이때 무장 소도성이 난을 평정하고 후폐제를 살해한 뒤 순제 유준을 옹립했다. 명제의 고명대신이었던 형주자사 심유지는 이에 반발하여 소도성을 공격했으나 실패했고, 소도성은 병권의 모든 권한을 장악하게 되었다. 결국 479년, 소도성순제 유준으로부터 선양을 받아 남제를 건국하고 초대 황제가 되었다. 이로써 송나라는 멸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배경

문제 유의륭의 열한 번째 아들로 439년에 태어났다. 어머니는 명선황태후 심씨(明宣皇太后 沈氏)로, 이름은 심용희(沈容姬, 414년 ~ 453년)이며, 미인(美人중국어)이라는 낮은 지위의 후궁이었다. 문제는 알 수 없는 이유로 한때 심용희를 죽이려 했으나, 그녀는 문제를 설득하여 목숨을 건졌다.

448년 회양왕(淮陽王)에 봉해졌고, 452년 상동왕(湘東王)으로 작위가 바뀌었다. 453년 어머니 심용희가 사망했고, 같은 해에 아버지 문제 유의륭이 태자 유소에게 암살당했다. 유소는 황제 자리에 올랐고, 유욱을 포함한 여러 형제들을 가택 연금했지만, 또 다른 형제인 유준이 유소를 격파하고 황위에 오르면서(효무제로) 풀려났다.

효무제는 유욱의 어머니 심씨를 상동 태비로 추존했고, 효무제의 어머니인 노혜남 태후가 유욱을 성년까지 키웠다. 성장하면서 유욱은 유송 황족의 관례에 따라 군과 주의 지사 직책을 순환했다. 그는 친절하고 열린 마음을 가진 인물로 여겨졌고, 문학적 능력도 뛰어났다. 그러나 지나치게 과체중이었다고 전해진다.

그의 초기 관직 생활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시기관직
453년효기장군, 급사중
453년비서감, 冠軍장군, 남란릉 및 하비 두 군의 태수, 영석두수사
454년남팽성 및 동해 두 군 태수, 경구 주둔
455년 1월중호군
455년 11월시중, 유격장군
456년위위, 좌위장군
457년 1월중호군
459년도관상서
463년영군장군
464년 2월사지절, 도독 서연 이주 예주양군제군사, 진북장군, 서주자사
464년 7월시중
464년 9월영군장군
465년 1월사지절, 산기상시, 도독 남예 예 사 강 사주 양주지 선성제군사, 위장군, 남예주자사, 고숙 주둔
465년 6월도독 옹량 남북 진 사주 영주지 경릉제군사, 녕만교위, 옹주자사
465년 9월개부의동삼사

[4][5][6][7]

2. 2. 전폐제 시대

전폐제는 충동적이고 폭력적인 성격으로, 464년 효무제가 죽자 황제로 즉위했다. 그는 유의공을 옹립하려는 음모를 진압한 후, 삼촌들을 의심하여 수도로 소환해 가두었다. 특히 유우, 건안왕 유휴인, 산양왕 유휴우를 의심했는데, 그들이 나이가 가장 많았기 때문이다. 전폐제는 뚱뚱한 세 왕자를 우리에 가두고 돼지처럼 무게를 쟀으며, 가장 무거운 유우를 '돼지 왕자'라고 부르며 마구간에 가두고 돼지처럼 먹이를 주며 모욕했다.[5]

전폐제는 자주 유우, 유휴인, 유휴우를 죽이려 했지만, 유휴인이 그를 아첨하여 마음을 바꾸게 했다. 한번은 유우를 돼지처럼 묶어 부엌으로 보내며 "오늘은 돼지 잡는 날이다."라고 말했지만, 유휴인은 "폐하의 아들이 태어난 후에 돼지를 잡아서 내장을 꺼내십시오!"라고 농담을 하여 전폐제는 유우를 죽이지 않았다.

465년 겨울, 전폐제가 여씨를 황후로 책봉할 즈음, 유우는 자신의 환관인 전남생에게 전폐제의 행동을 관찰하고 보고하도록 했다. 한편, 전폐제의 측근 수적지는 그를 살해할 음모를 꾸미고 있었고, 전폐제가 귀신을 쏘는 의식을 행하는 동안 그를 살해했다. 유우는 관료들과 형제 유휴인의 지지로 황제(명제)로 옹립되었다.[4]

2. 3. 즉위 초: 유자훈의 난과 북위와의 전쟁

전폐제 유자업이 숙부인 유욱(명제)에게 암살당한 후, 명제는 즉위하여 어머니 심(沈) 비빈을 선현 황태후로 추존했다. 효무제의 어머니인 육(陸) 태황태후의 손에서 자랐기 때문에 육 태황태후를 계속 황태후로 존경했다. 그는 여러 관리, 형제들, 조카들을 진급시켜 제국을 안정시키려 했다.[1] 그러나 건문제의 동생 유자상과 누이 유초옥을 자살하게 만들었다.[1]

명제가 진급시키려 했던 조카 중 한 명인 진안왕 유자훈은 명제의 즉위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켰다.[1] 466년 봄, 유자훈은 황제로 선포되었고, 거의 제국 전체가 유자훈을 지지했다.[1] 명제는 건강 주변 지역만 통제하고 있었다.[1]

그러나 명제의 장군인 오희(吳喜)는 빠르게 동쪽으로 진격하여 유자훈을 지지했던 회계 주변의 군을 점령하여 식량을 확보했다.[1] 차오후 지역에서 수개월 동안 교착 상태가 이어졌고, 명제의 장군인 장흥세(張興世)가 유자훈 주력군 상류에 방어 기지를 건설하여 식량 보급을 차단했다.[1] 심유지가 유자훈을 처형함으로써 그의 경쟁 주장은 종식되었다.[1]

명제는 유자훈을 지지했던 사람들을 가혹하게 다루었고, 효무제의 아들들을 모두 죽였다.[1] 명제의 보복은 유송에 심각한 피해를 가져왔다.[1] 서주(徐州) 자사 설안도(薛安都)가 북위에 항복하면서, 회북 4주와 예주의 회서 지역을 북위에 빼앗겼다.[1]

2. 4. 통치 후반

명제는 통치 후반기에 점차 의심이 많아지고 잔혹해졌다. 470년, 관리들에게 선물을 바치도록 강요하고, 자신에게 책을 바친 시흥군 지사 손봉백에게 독을 내려 자결하게 하려 했다.[3] 또한 궁궐 연회에서 시녀들에게 옷을 벗도록 명령하고, 이를 거부하는 왕황후를 쫓아냈다.[3]

남제 시대 역사 기록에 따르면, 명제는 발기 부전이었으며, 12명의 아들은 형제들의 임신한 을 빼앗거나 첩들에게 다른 사람들과 성관계를 갖게 한 결과라고 한다. 그러나 이는 남제에서 명제의 아들들의 정통성을 부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471년, 병에 걸린 명제는 형제들이 왕위를 찬탈할 것을 두려워하여, 유수요를 죽이고 유인과 유휴약에게 자결을 강요했다. 유일하게 살아남은 형제는 유휴범이었다. 명제는 소도성을 시험하기 위해 오희를 시켜 독이 든 술을 보냈으나, 오희가 먼저 마셔 소도성의 의심을 풀었다. 그러나 오희의 행동이 발각되자 명제는 그에게 자결을 강요했다. 472년 봄, 명제는 왕황후의 오빠 왕경문에게도 자결을 강요했다.

472년 여름, 명제는 사망했고, 태자 유욱(후폐제)이 뒤를 이었다.

3. 연호

연호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
서력465년466년467년468년469년470년471년472년
간지을사(乙巳)병오(丙午)정미(丁未)무신(戊申)기유(己酉)경술(庚戌)신해(辛亥)임자(壬子)
태시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
태예(泰豫)-------원년



수정 사항 없음: 모든 지시사항 및 허용된 문법을 완벽하게 준수하고 있습니다. 오탈자, 문법 오류, 문맥 오류, 번역 오류 등도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4. 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문제 유의륭유송의 제3대 황제
어머니명선황태후 심씨(明宣皇太后 沈氏)심용희(沈容姬, 414년 ~ 453년)
배우자
황후명공황후 왕정풍(明恭皇后 王貞風)
황비황태비 진묘등(皇太妃 陳妙登)
후궁수의 사씨(修儀 謝氏)
후궁소화 진법용(昭華 陳法容)
후궁첩여 서씨(婕妤 徐氏)
후궁수용 정씨(修容 鄭氏)
후궁수화 두씨(修華 杜氏)
후궁미인 천씨(美人 天氏)
후궁양인 서씨(良人 徐氏)
자녀
장녀진릉장공주 유백사(晉陵長公主 劉伯姒)명공황후 왕정풍 소생
차녀건안장공주 유백원(建安長公主 劉伯媛)명공황후 왕정풍 소생
장남창오왕 유욱(劉昱)유송의 제8대 황제, 황태비 진묘등 소생
2남유법량(劉法良)요절, 수의 사씨(修儀 謝氏) 소생
3남안성왕 유준(劉準)유송의 제9대 황제, 소화 진법용(昭華 陳法容) 소생
4남요절첩여 서씨(婕妤 徐氏) 소생
5남동평왕 유지정(劉智井)수용 정씨(修容 鄭氏) 소생
6남진희왕 유섭(劉燮)수의 사씨(修儀 謝氏) 소생
7남소릉상왕 유우(劉友)미인 천씨(美人 天氏) 소생
8남강하왕 유제(劉躋)첩여 서씨(婕妤 徐氏) 소생
9남무릉왕 유찬(劉贊)양인 서씨(良人 徐氏) 소생
10남수양왕 유홰(劉翽)수화 두씨(修華 杜氏) 소생
11남신흥왕 유고(劉嵩)양인 서씨(良人 徐氏) 소생
12남시건왕 유희(劉禧)미인 천씨(美人 天氏) 소생


5. 평가

명제는 초기에는 유능한 통치자로 평가받았다. 즉위 전에는 『강좌이래문장지(江左以来文章志)』나 『논어주(注)』 등의 저서를 남길 정도로 학식이 깊었고, 온화한 성품을 지녔다고 한다. 즉위 초 사방에서 반란이 일어났을 때도 토벌군 지휘관의 친족이 반란에 가담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의심하지 않고 신임했으며, 난이 평정된 후에는 반란 가담자 대다수를 사면하고 능력 있는 자를 등용하는 등 관대한 모습을 보였다.[4]

그러나 유자훈의 난 이후 명제는 독단적인 정치를 펼치며 점차 폭군으로 변모해갔다. 자신의 아들들의 지위를 위협하는 황족들을 처형하고, 미신에 깊이 빠져 불길한 말을 하거나 글을 쓴 사람을 처형하기도 했다.[4] 또한 사치가 심해져 백성들에게 물품을 과도하게 징수하고, 관리들의 봉급이 고갈되었음에도 자신의 재산을 숨겨두는 등 재정을 궁핍하게 만들었다.[6]

전폐제에게 '저왕(猪王)'이라 불릴 정도로 비만이었던 명제는[5] 꿀에 절인 젓갈이나 양념한 돼지고기를 즐겨 먹는 등 식탐이 강했다고 한다.[6] 비만으로 인해 성적 불능 상태가 되자, 제왕이나 측근의 애첩이 임신하면 후궁으로 들여 자신의 아이로 낳게 했다는 기록도 있다.[7]

이러한 명제의 실정과 폭정은 유송의 쇠퇴를 가속화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친족 숙청과 공포 정치는 유송 왕조에 대한 불신을 키웠고, 결국 소도성남제 건국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6. 기타

전폐제에게 '돼지 왕'이라고 불릴 정도로 비만이었다.[5] 독서를 좋아했고, 즉위 전에는 『강좌이래문장지』, 『논어주』 등을 저술했다.[4] 치세 말년에는 미신에 깊이 빠져 불길한 말을 하거나 문서에 쓴 자를 처형하기도 했다.[4]

참조

[1] 서적 Book of Song 송서
[2] 서적 Book of Song 송서
[3] 서적 Song Shu 송서
[4] 서적 宋書 송서
[5] 서적 宋書 송서
[6] 서적 南史 남사
[7] 서적 Song Shu & Nan Qi Shu 송서, 남제서
[8] 서적 송서 송서
[9] 서적 남사 남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